이상우 교수님
전공분야
학력
전공분야
- 경관생태학
학력
-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이학사
-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조경학석사
- 미국 Texas A&M University 조경학과 지역계획학박사 경관생태 전공
-
- 주요경력
-
- 2015~현재 응용생태공학회 이사 및 편집위원
- 2015~현재 국립산림과학원 중점관리위원
- 2014~현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편집위원장
- 2014~현재 양주시 경관위원회 위원
- 2014~현재 생태와 환경 편집위원
- 2014~2016 경기도 철도건설 기술자문위원회 위원
- 2014~2015 경기도 건설심위위원
- 2012~현재 한국조경학회 상임이사 및 편집위원
- 2010~2012 서울 국토지방 관리청 자문위원
- 2009~2011 서울시 설계자문위원 (조경분야)
- 2009~2011 인천개발공사 설계심의위원(조경분야)
- 2008~2014 서울국토지방관리청 설계자문위원 (조경 및 생태분야)
- 2008~현재 대한주택공사 친환경인증센터 심의위원
- 2007~2009 국립산림과학원 겸임연구관
- 2007~2009 인천관광공사 설계자문위원
- 2007~2008 경기지방공사 설계자문위원
- 2003~2006 The University of Texas 조경학과 조교수
- 2003~2006 ASLA (미조경가협회) 정회원
- 2003~2006 CELA (미조경교육가협회) 정회원
-
- 연구분야&동향
-
1. 조경 스튜디오 및 공모전
전반적인 조경계획 과정과 설계 방법을 실습하고, 경관분석, 경관계획 및 디자인을 위한 기초 드로잉을 학습한다. 학기 중에 아파트 단지계획과 기타 설계 실습과정을 거쳐 각종 조경대전을 비롯한 공모전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2. 수생태건강성 평가 및 경관생태적 복원전략
전국의 1200여개 지점에서 하천의 건강성을 평가하고 이를 GIS DB로 구축하여 국가 하천의 관리 및 복원전략에 활용. 생물 및 서식환경 등의 수생태 건강성 평가 결과를 토대로 복원요구도를 평가하고, 복원이 시급한 하천에 대하여 종합분석 및 하천 건강성 회복을 위한 복원 방향과 전략 제시
3. 수생태계 훼손 원인 분석 및 진단체계 구축 연구
1960-1980년대 성장 위주의 국토개발 정책, 사업, 난개발은 육지 생태계뿐만 아니라 하천 생태계에도 막대한 부정적 영향을 주어 전국의 많은 하천들이 물리적·화학적 그리고 생태적으로 훼손되는 결과를 낳았음. 이에 환경부는 1987년 이후 훼손된 하천 환경을 복원하기 위하여 복원 사업을 전국적으로 추진해 왔으며, 특히 2007년부터는 수질뿐만 아니라 수생태계의 복원을 목표로 한 생태하천 복원사업을 꾸준히 추진하여 오고 있음. 하지만 많은 복원사업과 하천관리는 대상 하천환경의 훼손 원인에 대한 정밀한 진단 없이 이루어져 그 효율성이 높지 않은 상태임. 따라서 예산사용의 효울성 및 복원효과 극대화를 위해서는 훼손된 하천의 원인 진단과정이 절대적으로 필요함. 본 과업은 이러한 훼손원인에 대한 진단방법과 DB구축을 목표로 수행되고 있음
4. 생태하천 복원사업 선진화 연구
환경부는 수생태 건강성 및 생태계 서비스에 대한 국민적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하여 2006년 물환경기본계획 수립이후 생태하천 복원사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왔으나 계획 및 설계기법과 적용 공법의 타당성 확보, 복원효과의 검증, 그리고 사업 무 모니터링 측면에서 여러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과제는 이러한 기존의 생태하천 복원사업을 좀 더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사업체계와 DB 구축에 목표를 두고 시행되고 있다.
5. 4대강 사업 조사 및 평가 연구
4대강 사업은 우리나라 하천환경을 급격하게 변화시킨 사업으로 여러 측면에서 논란이 되어 왔다. 2014년 정부는 급격히 변화된 하천생태계 및 하천환경의 조사, 그리고 4대강 사업의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별도의 조사위원회를 구성하여 전국 4대강 사업 대상지에 대한 조사평가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4대강 사업은 우리나라 하천 생태계에 지대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하천 생태계는 정수성 하천으로 극격히 변화하고 있으며, 둔치의 경우에도 필요이상의 많은 시설의 입지로 생태성이 현저히 낮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새만금지역 생태계 변화 모니터링
1989년 기본계획수립으로 시작된 새만금 간척사업은 2010년 방조제 준공, 2011년 새만금종합개발계획의 확정으로 약 283km2을 간척 토지뿐만 아니라 118 km2의 담수호를 만들어 연안 생태계의 급격한 변화를 야기하였다. 기존의 시화호의 사례에서 경험한 바와 같이 이러한 급격한 변화는 퇴적물, 부유생물, 지형,, 수서생태계에 급격한 변화를 야기할 것으로 예측되는 바 농어촌연구원, 환경부 등은 해당지역의 생태계 변화를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대상지의 규모 상 현장 조사만으로는 전체적인 환경변화를 관측하기 어려우므로 GIS와 Remote Sensing 기법이 모니터링에 도입되었다.
7. 산불피해분석과 복원을 위한 경관생태적 접근방법
산불은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요인 중 하나로 많은 수목이 소실됨으로써 토양유출과 수자원 고갈, 산림자원 생산량 감소 등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는 산불직후 피해지 조사를 위한 영향인자 선정 및 평가를 위한 야장을 정립하고 피해지 현황을 신속하게 평가하여 피해정도에 따라 적합한 복원방법을 결정 할 수 있다. 이러한 영향인자의 선정은 산불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산불로 인한 산불피해전과 피해이후의 경관구조의 변화를 연구하여 생태계의 회복과정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는 산불이후 피해지의 관리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과업을 위해서는 GIS, Remote sensing (원격탐사기법)등의 활용이 필수적이다.
8. 국가 산림경관 네트워크 분석
산림청은 국토의 75%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산림자원을 국민 복지자원으로 인식하고 산림경관자원으로 개발하고자 한다. 경관은 단순이 자원에 의해 결정되는게 아니라 자원과 그것을 인지하는 사람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경관의 기본 모델에 기초하여 국가산림경관 네트워크를 구상하는 본 프로젝트에서 GIS와 원격탐사기법을 이용한 국가 산림경관을 분석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분석을 실시하였다.
9. 농촌 어메니티 자원 발굴 및 수변공간 계획
농촌 지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농촌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과 더불어 여가활동과 휴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여가공간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게 되었다. 본 연구는 주요 강 유역의 균형적인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전략적 사업의 필요성과 함께 수변 공간과 농촌마을의 연계방안을 모색 후 환경적 영향력을 고려한 생태계 기능 향상과 개발 및 보전 전략에 대해 연구하며, 우리나라 주요 강 유역의 마을 환경성평가를 통해 어메니티 자원을 발굴하여 사회·문화 및 생태, 관광 등 다각적인 접근방법으로 수변 공간 조성방안 및 구체적인 계획을 연구한다.
10. 자연하천복원을 위한 하천 연속성 복원연구
기존의 하천관련 공사는 복원이라기 보다는 정비에 더 가까운 사업으로 하천의 생태적요소 보다는 이·치수가 강조된 하천복원이 주를 이루어왔다. 하천의 이·치수기능이 확보된 수리적 안정성과 생태적 건강성이 확보된 기술과 인간과 하천이 공생할 수 있는 하천의 복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유형과 하안 복잡도와의 관계를 생태적 건강성 측면에서 규명하여 하천 규모에 따른 적정하안 복잡도 도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하안의 복잡도는 종적 복잡도와 횡적복잡도를 포함하고 있으며, 하천의 종적 하안 복잡도와 평가된 하천 건강성과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고, 이는 건강한 하천을 위한 기술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 논문 및 저서 : SCI
-
- Complex Relationships of the Effects of Top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usceptible Tree Cover on Burn Severity, sustainability10(295): 1-20(2018)
- Development of an Industrial Network System Using Rural Landscape and the Role of Stakeholders,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11(3): 1-9(2017)
- Network Potential Analysis among Agricultural Villages based on Landscape Resources – Focusd on Dangjin, Seosan, and Taean in Chungchungnam-do Regi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3(3): 1-12(2017)
- A study on Qualitative Landscape Character Assessment for Rural Areas and Its Environmental Policy Implem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3(2): 19-28(2017)
- Exploring Sustainable Street Tree Planting Patterns to Be Resistant against Fine Particles(PM2.5), sustainability 9(1709): 1-18(2017)
- Does Environment Risk Affect Human Migration Behavior? Journal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9: 493-504(2017)
- Examining Spatial Variation in the Effects of Japanese Red Pine(Pinus densiflora) on Burn Severity Using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sustainability 9(804): 1-18(2017)
- Exploring research priorities in landscape architecture: An international Delphi stud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37: 85-94(2015)
-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responses of humans to the index of greenness of an interior space, Complementary Therapies in Medicine 28: 37-43(2016)
- Effects of streamline complex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land use and ecological communities, Paddy and Water Environment (accepted, 2015)
- Ecological conservation and the restoration of freshwater environments in Korea, Paddy and Water Environment 12: 1-5 (2014)
- Mediating effects of stream geometr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land use and biological index, Paddy and Water Environment 12: 157-168 (2014)
- Intermediate-scale analysis of landscape characteristics affecting edge formation in burned forests in Samcheok, Korea, Journal of Mountain Science 11(2): 384-397 (2014)
- Effects of heterogeneity of pre-fire forests and vegetation burn severity on short-term post-fire vegetation density and regeneration in Samcheok, Korea, Landscape and Ecological Engineering 10: 215-228 (2014)
- Overview and application of the National Aquatic Ecological Monitoring Program (NAEMP)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Limnology 47: 3-14 (2011)
- Ecological monitoring, assessment, and restoration of running waters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Limnology 47: 1-2 (2011)
- Relationships between land use and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streams and rivers at two different scales, International Journal of Limnology 47: 107-116 (2011)
- Landscape Ecological Approach to the Relationships of Land Use Patterns in Watersheds to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92:80-89. (2009)
- The effects of spatial variability of land uses on stream water quality in a costal watershed, Paddy and Water Environment 6, 275-284. (2008)
- Moderating effects of forest cover on the effects of proximity to chemical facilities on property value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86, 171-176. (2008)
- Relationship between landscape structure and neighborhood satisfaction in urbanized area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85, 60-70. (2008)
- Moderating effects of the geometry of reservoirs on the relation between urban land use and water qualit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82, 175-183. (2007)
- Expanding the individual choice-sets model to couples’ honeymoon destination selection process, Tourism Management 28, 1299-1314. (2007)
- Zonal analysis of land-use effects on stream water quality in coastal watershed. International Water Association annual conference, Istanbul, Turkey. (2006)
-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cover types, landuse pattern and water quality in urbanized areas, ENVIROWATER2005, The University of Texas, Arlington, Texas, US. (2005)
- Retail land use, neighborhood satisfaction and the urban forest: an investigation into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trees and shrub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4(1): 70-78. (2005)
-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ported and objectively measured physical environments, Environment and Behavior 38(1): 72-91(2005).
-
- 논문 및 저서 : 등재지
-
- 공간지리 가중회귀모형을 이용한 유역 녹지비율과 하천수질의 비균질적 관계 검증, 한국조경학회지 41(6), 43-51 (2014)
- SPOT5영상과 현장조사자료를 융합한 대형산불지역의 피해강도 분석, 한국농림기상 학회지 16(2),114-124 (2014)
- 공간 자기상관성을 고려한 산불피해지 경계형성과 경관특성변수들과의 관계, 한국임학회지 102(1), 113-121 (2013)
- 효율적인 하천관리를 위한 하천생태 특성을 고려한 유형분류, 한국환경복원기술 학회지 15: 103-114. (2012)
- 가장자리와 산불피해강도가 산불피해지역 초기식생재생에 미치는 효과, 한국임학회지 10: 121-129. (2012).
- 한국형 산불피해강도지수(KCBI)의 개발 및 검증, 한국임학회지 101: 163-174. (2012).
- 어류군집 특성과 하안 형태복잡도와의 관계,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5: 19-29. (2012).
- 산불 피해강도의 공간 자기상관성 검증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 101: 203-212. (2012).
- 섬강 수계에서 하천 형태복잡도와 토지이용, 수질 및 부착규조류 군집 분포와의 관계, 한국하천호수학회지 44:110-122 (2012).
- 수변 농촌 마을의 경관 자원 우수성 평가 방안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학회지 17: 91-101 (2011).
- 가을철 차광 처리에 따른 진달래와 영산홍의 생리적 반응.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8: 403-408. (2010).
- 유역에서 토지이용과 오염원 자료의 공간적 변화가 하천 수질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하천호수학회지 40(1), 50-49. (2007).
- 새로운 산림 커뮤니케이션 접근방법의 모색과 미디어별 효과차이: 정교화 가능성 모델의 적용, 한국임학회지 96(4), 377-386. (2007).
- 공간성, 호소유형 및 형태복잡도 지수를 이용한 토지이용과 호소 수질의 관계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4(6): 1-9. (2007).
- 경관생태계 -환경영향평가를 위한 생태계 공간분석법. 라이프사이언스. (2007).
- 수변공원과 체육공원의 중요속성,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0(6), 33-43. (2007).
- 공간성, 호소유형 및 형태복잡도 지수를 이용한 토지이용과 호소수질과의 관계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4(6): 1-9. (2007).
- The Roles of Hand Drawing and Computer Assisted drawing in Landscape Architecture Professional Practice. 한국조경학회지 34(3): 91-103. (2006).
- 토지이용과 인접저수지 수질의 관계에 대한 형태복잡도의 개선효과. 한국조경학회 추계학술대회, 강릉대학교. (2006).
- Review of issues and problems in using landscape metrics, 한국조경학회지 32(5): 73-83. (2004).